라벨이 새마을금고인 게시물 표시

새마을금고는 어떤 일을 할까?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금융기관 중 하나가 바로 새마을금고 입니다. 지역 골목 곳곳에 지점이 자리하고 있고, 지역 어르신들이 종종 들르는 모습을 볼 수도 있습니다. 이름이 익숙한 만큼 친근하게 느껴지지만, 막상 “새마을금고가 정확히 어떤 일을 하는 곳인가요?”라고 물으면 선뜻 답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은행처럼 예금과 대출 업무를 하는 곳인가? 아니면 조합 같은 협동조직일까? 사실 새마을금고는 그 둘의 성격을 모두 가진 지역 밀착형 금융기관 입니다. 일반적인 은행과는 분명히 다르면서도, 주민의 실생활에 밀접한 역할을 하고 있는 곳이지요. 그렇다면 새마을금고는 정확히 어떤 기관이며, 어떤 일을 하는 곳일까요? 그 역할과 기능을 천천히 살펴보겠습니다. 1. 새마을금고는 무엇인가? **새마을금고는 ‘협동조합형 금융기관’**입니다. 은행이 주식회사 형태로 운영되는 반면, 새마을금고는 지역 주민들이 조합원으로 참여하여 공동으로 운영하는 조직 입니다. 1963년 농촌 지역에서 처음 시작된 새마을금고는, 당시 농민들이 은행에 접근하기 어렵고 고리대금에 시달리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즉, 자신들이 낸 돈으로 자금을 모아 필요할 때 서로 빌려주고, 남는 돈은 함께 운용하는 방식 의 지역 금융 공동체였던 셈입니다. 현재는 농촌뿐 아니라 도시에서도 활발하게 운영되며, 전국적으로 수백 개의 새마을금고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2. 지역 주민 중심의 금융기관 새마을금고의 가장 큰 특징은 지역사회 기반 금융기관 이라는 점입니다. 일반적인 시중은행이 전국 단위의 대규모 네트워크를 갖춘 영리기관이라면, 새마을금고는 각 지역의 주민들을 중심으로, 조합원들의 자금을 모아 자율적으로 운영 됩니다. 새마을금고는 조합원 가입을 통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예금과 적금, 대출 등 일상적인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그 지역의 경제적 필요에 맞춘 맞춤형 금융지원 을 실행합니다. 또한 수익을 주주에게 배당하는 은행과 달리, 새마을금고는 수익을 조합원들에게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