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과 시중은행은 어떻게 다를까?
은행이라고 하면 대부분 사람들은 예금하고, 대출받고, 송금하는 곳을 떠올리게 됩니다. 그런데 뉴스나 경제 관련 기사에서 등장하는 **‘한국은행’**은 우리가 자주 이용하는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같은 **‘시중은행’**과는 분명히 다른 개념입니다. 두 기관 모두 ‘은행’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지만, 실제로는 기능, 역할, 고객, 권한 등 모든 면에서 큰 차이 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한국은행과 시중은행의 차이 를 하나씩 살펴보며, 왜 이 두 기관을 명확하게 구분해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지를 알아보겠습니다. 1. 한국은행은 ‘중앙은행’, 시중은행은 ‘상업은행’ 가장 본질적인 차이는 은행의 종류와 목적 에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중앙은행(Central Bank)**으로, 국가 전체의 통화와 금융을 총괄하는 공공기관입니다. 반면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등은 시중은행(Commercial Bank)**이라고 하며, 일반 국민과 기업을 상대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리 목적의 민간 금융기관 입니다.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은 단 하나뿐이지만, 시중은행은 여러 개가 존재하며, 서로 경쟁을 통해 고객을 유치하고 수익을 창출하려는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2. 목적의 차이 – 공공성과 수익성 한국은행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국가 경제의 안정 입니다. 통화량 조절, 물가 안정, 금융시스템의 건전성 유지, 외환시장 안정 등이 한국은행의 주요 임무이며, 이는 수익을 위한 것이 아니라 국민경제 전체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한 것 입니다. 반면 시중은행은 예금, 대출, 송금, 외환 등 다양한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판매하고 그 과정에서 수익을 창출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즉, 고객을 많이 유치하고, 예대마진(예금과 대출 이자 차이) 등으로 경쟁력을 높여 이익을 내는 영리기관 입니다. 이처럼 한국은행은 공공기관 , 시중은행은 영리 금융회사 라는 점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입니다. 3. 고객의 차이 – 한국은행은 ‘은행의 은행’ 시중은행은 우리 같은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