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증권시장인 게시물 표시

주식이란 뭘까?

주식에 대해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뉴스에서는 매일같이 “코스피가 올랐다”, “삼성전자 주가가 하락했다” 같은 이야기가 나오고, 주변에서는 누가 주식으로 돈을 벌었다거나 손해를 봤다는 이야기가 들려오지요. 하지만 막상 “주식이 뭐야?”라는 질문을 받으면 쉽게 설명하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주식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경제와 기업, 투자와 사람들의 기대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금융상품입니다. 그렇다면 주식이란 정확히 무엇이고, 왜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주식에 관심을 갖는 걸까요? 이 글에서는 주식의 개념부터 작동 방식, 투자자에게 주는 의미까지 차근차근 풀어보겠습니다. 1. 주식은 기업의 ‘조각’입니다 주식이란 기업의 소유권을 나눈 조각 입니다. 조금 더 쉽게 말하면, 어떤 회사를 100조각으로 나눴다고 할 때 그 중 한 조각을 갖고 있다면, 나는 그 회사의 1%를 소유한 셈입니다. 이러한 조각 하나하나를 '주식'이라고 부르는 것이지요. 기업은 사업을 시작하고 성장하기 위해 자금이 필요합니다. 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주식을 발행하는 것입니다. 주식을 발행해서 불특정 다수에게 팔고, 그 돈으로 공장을 짓거나 연구개발을 하거나 인력을 채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내가 어떤 기업의 주식을 샀다는 것은, 단순히 그 기업에 돈을 빌려준 것이 아니라 그 기업의 주인이 되는 것 입니다. 물론 전체 중 극히 일부이긴 하지만, 법적으로는 기업의 주주로서 권리를 갖는 것 입니다. 2. 주식을 사면 어떤 권리가 생길까? 주식을 소유하게 되면 기업의 주주가 됩니다. 주주가 된다는 것은 단순히 주가의 오르내림을 지켜보는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중요한 권리를 갖게 된다는 뜻입니다. 1) 배당을 받을 권리 기업이 1년 동안 이익을 내면, 일부를 주주에게 돌려주기도 합니다. 이를 ‘배당’이라고 부르며, 주식을 보유한 만큼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 권리 가 생깁니다. 모든 기업이 배당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안정적인 대...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은 뭐가 다를까?

기업이라는 단어는 낯설지 않지만,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이라는 표현을 들으면 왠지 어렵고 금융 전문가들이나 신경 쓸 법한 용어처럼 느껴지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 이 둘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우리가 투자나 경제 뉴스를 이해할 때, 또는 취업을 고려할 때도 꽤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그렇다면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은 도대체 무엇이 다를까요? 이 두 기업은 어떤 과정을 통해 구분되고, 각각 어떤 특성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을까요? 개념부터 사례, 의미까지 자연스럽게 하나씩 풀어보겠습니다. 1. 상장기업이란 무엇인가요? 상장기업이란 증권시장에 주식을 공개해 일반 투자자들도 자유롭게 주식을 사고팔 수 있는 기업 을 말합니다. 흔히 주식시장이라고 하는 코스피(KOSPI)나 코스닥(KOSDAQ)에 상장된 기업들을 의미하지요. 상장을 한다는 것은 곧, ‘내 회사의 주식을 시장에 공개하겠다’는 선언 입니다. 그렇게 되면 이 기업의 주식은 한국거래소 같은 공식 거래소에서 거래되며, 누구나 증권사를 통해 해당 기업의 주식을 매매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카카오, LG에너지솔루션 등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대기업들은 모두 상장기업입니다. 이 기업들은 매일같이 주가가 공개되며, 경영 성과도 정기적으로 공시해야 하는 의무 가 따릅니다. 2. 비상장기업이란 무엇인가요? 비상장기업은 말 그대로 증권시장에 상장되지 않은 기업 을 의미합니다. 즉, 주식을 일반 대중에게 공개하지 않았고 , 따라서 주식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되지 않는 기업 입니다. 비상장기업이라고 해서 규모가 작거나 인지도가 없는 기업만 있는 건 아닙니다. 실제로 기업공개(IPO)를 준비 중이거나, 일부러 상장을 하지 않고 비공개로 사업을 운영하며 전략적으로 성장하는 기업 들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스타트업, 중소기업은 대부분 비상장기업이며, 심지어 상당한 수익을 내는 중견기업도 상장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교촌에프앤비, 오뚜기재단, 무신사 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