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협동조합형 금융기관인 게시물 표시

신협은 어떤 일을 할까?

우리 주변을 걷다 보면 종종 ‘신협’이라는 간판을 마주치게 됩니다. 새마을금고, 농협처럼 친근하게 느껴지지만 막상 신협이 어떤 기관인지, 무엇을 하는 곳인지에 대해 정확히 알고 계신 분은 많지 않으실 겁니다. 은행처럼 예금과 대출을 하는 것 같기도 하고, 조합 같은 협동조직 같기도 하지요. 사실 **신협(신용협동조합)**은 이름 그대로 신용을 기반으로 한 협동조합형 금융기관 입니다. 자본 중심이 아닌 사람 중심의 철학을 바탕으로, 공동체의 힘으로 금융 문제를 해결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신협은 어떤 일을 하는 기관일까요?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신협의 시작과 철학 신협은 단순히 돈을 맡기고 빌리는 금융기관이 아닙니다. 그 시작은 협동과 연대 의 가치에 있습니다. 19세기 독일에서 처음 시작된 신용협동조합 운동은, 가난한 이들이 고리대금업자에게 시달리는 것을 막고 서로 돕는 금융 공동체 를 만들자는 데서 출발했습니다. 한국의 신협은 1960년대 초, 가톨릭 사제들과 지역 공동체 운동가들이 주축이 되어 설립하였고, 지금은 전국적으로 약 900개 넘는 조합이 운영되고 있으며 수천만 명의 조합원이 함께 참여하는 대표적인 서민금융기관 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신협의 철학은 ‘ 사람이 우선이다 ’입니다. 이윤보다 조합원의 복지를 먼저 생각하고, 수익이 나면 그것을 다시 조합원에게 돌려주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2. 조합원이 주인인 금융기관 신협은 일반 은행과 달리, 조합원이 곧 주인인 협동조합 구조 로 운영됩니다. 조합에 가입한 사람은 단순한 고객이 아닌 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주체 입니다. 총회를 통해 이사장을 선출하고, 예산을 심의하고, 사업계획에 대해 의결하는 등 조합의 중요한 결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권리 를 갖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조합원들의 이익이 우선시되도록 운영되며, 외부 투자자나 대주주의 이익에 좌우되지 않습니다. 즉, 신협은 조합원에 의해, 조합원을 위해, 조합원이 운영하는 조직 입니다. 이것이 바로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