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화폐 발행인 게시물 표시

한국은행은 어떤 일을 할까?

우리가 뉴스를 보다 보면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통화정책회의 결과 발표”, “한국은행의 경제전망”과 같은 표현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특히 금리나 물가에 관련된 이슈가 있을 때마다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이름이 바로 ‘한국은행’입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께는 한국은행이 일반 시중은행처럼 돈을 맡기고 대출해주는 곳 이라고 생각되기도 하고, 또 어떤 분들은 그냥 정부 기관 중 하나로 여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은행은 일반 은행과는 완전히 다른 기능과 목적을 가진 대한민국의 중앙은행 입니다. 그렇다면 한국은행은 정확히 어떤 일을 하는 곳일까요? 경제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하며, 우리 생활과는 어떤 연관이 있는지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1. 대한민국의 중앙은행 한국은행은 1950년 6월 12일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중앙은행 입니다. 중앙은행이란 한 나라의 금융과 통화 정책을 책임지고 운영하는 기관으로, 화폐 발행, 금리 조절, 물가 안정, 외환보유, 금융 시스템의 안정 등 국가 경제의 핵심을 조율하는 역할 을 맡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한국은행은 일반 은행이 아닌 나라 전체의 경제를 움직이는 통화의 총책임자 라고 보시면 됩니다. 시중은행은 예금자에게서 돈을 받아 대출을 해주는 금융기관이지만, 한국은행은 시중은행의 은행 역할을 하며, 경제 전체의 돈의 흐름과 가치를 조절하는 기관 입니다. 2. 화폐를 발행하는 유일한 기관 한국은행의 가장 대표적인 역할 중 하나는 화폐 발행권을 독점적으로 가지고 있다는 점 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지폐와 동전—5만 원권, 1만 원권, 500원짜리 동전 등은 모두 한국은행이 만들어냅니다. 한국은행이 발행한 화폐가 ‘법정화폐’로 인정받고, 국가 내에서 통용되는 것이죠. 이 화폐 발행에는 단순한 제조 이상의 의미가 있습니다. 시장에 얼마나 많은 돈이 풀릴지를 결정하는 것 , 바로 그것이 한국은행의 역할입니다. 돈이 너무 많이 풀리면 물가가 오르고(인플레이션), 반대로 너무 부족하면 경제가 위축되기 때문에 적절한 공...